2주에 걸친 '사교육 이권 카르텔'과 학원 부조리 집중신고 기간이 어제(6일) 종료됐습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가 오늘 그 결과를 발표하는데요. <br /> <br />브리핑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장상윤 / 교육부 차관] <br />안녕하십니까? 교육부 차관 장상윤입니다. <br /> <br />존경하는 국민 여러분. 정부는 지난 6월 22일 사교육 카르텔 부조리 신고센터를 개설하고 어제인 7월 6일까지 집중 신고 기간을 운영하며 국민 여러분의 신고를 접수하고 면밀하게 검토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지난 7월 3일에는 중간 접수 현황과 1차 조치 상황을 보고드렸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은 집중 신고 기간을 마치면서 접수 현황과 조치 계획을 2차 보고 드리고자 합니다. <br /> <br />사교육 카르텔 부조리 신고센터에는 지난 6월 22일부터 7월 6일 18시까지 총 325건의 신고가 접수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민들께서는 그간 느껴온 일부 학원들의 위법 부당한 행태와 답답한 심정을 자세하게 말씀하여주셨고 사교육 카르텔과 부조리가 반드시 근절되어야 한다는 간절한 목소리도 전해 주셨습니다. <br /> <br />신고 내용은 크게 사교육 업체와 수능 출제 업체와의 유착 관계 의심, 교재 끼워팔기, 교습비 추가 징수 등 다양하였으며 이들은 크게 사교육 카르텔 신고와 사교육 부조리 신고로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사교육 카르텔은 일부 사교육 업체 등이 사적 이익만을 목적으로 상호 연합하여 편법, 불법적으로 입시 체제를 이용하는 것으로, 집중신고기간 중 총 81건의 신고가 접수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러한 카르텔은 일부 부도덕한 어른들의 욕심으로 입시 공정성을 근본적으로 훼손한다는 점에서 더욱 지탄받고 엄정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이에 교육부는 대형 입시학원 강사가 수업 중 수능 출제 관계자와 만났다는 사실과 함께 예상되는 문제 유형을 언급한 사안 등 2건에 대해 지난 7월 3일 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한 바 있으며, 수능 출제진이 문제집 제작에 참여하였다고 과장하여 홍보한 사안 등에 대해서도 공정거래위원회에 조사를 요청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오늘은 대형 입시학원 강사가 수능 관련 출제 경험을 가진 현직 교사들로부터 문항을 구매하여 교재를 제작한 사안 등 모두 2건에 대해 추가로 수사를 의뢰한다는 말씀을 드립니다. <br /> <br />이외에도 학원, 강사, 모의고사 업체가 상호 이익을 공유, 확대하는 방식으로 연계되어 학생들에게 교습비와 함께 학원 교재, 강사 교재,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지원 (jiwons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70709324230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